HTTP와 HTTPS의 차이점과 핵심 원리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웹 페이지를 주고받는 규약입니다. 이때 전달되는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암호화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를 지나던 도중에 가로채지거나 조작될 위험이 있습니다. 반면에 HTTPS는 HTTP에 TLS(또는 SSL) 보안 계층을 추가한 형태로, 데이터가 전송 중에 암호화되고 서버의 신원을 확인합니다. 이로써 방문자가 입력하는 비밀번호나 결제 정보가 제3자에 의해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이러한 차이는 온라인 상의 신뢰성과 직결되므로, 특히 로그인 페이지나 결제 페이지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곳에서는 HTTPS를 반드시 사용하도록 권장됩니다.

브라우저의 자물쇠 아이콘은 HTTPS 연결이 안전하다는 표시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접속 중인 사이트의 서버가 어떤 인증서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인증서는 서버와 브라우저 간에 암호화된 연결을 설정하는 데 필요하며, 예를 들어 TLS 1.2, TLS 1.3 같은 프로토콜이 사용됩니다. 인증서의 발급 기관은 신뢰 가능한 CA로 알려진 곳이어야 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중간에서 탈취되더라도 암호화되어 있어 내용을 해독하기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HTTPS를 적용한 사이트를 더 안전하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HTTP는 Hyper Transfer Protocal이라고 해서 여러 시스템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약에 불과합니다. 반면 HTTPS는 여기에 SSL/TLS라는 보안 계층이 추가되어,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에 전달되는 정보가 암호화된다는 점이 큰 차이로 작용합니다. 이 암호화 덕분에 인터넷 상에서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사이트의 보안성이 크게 향상되며, 데이터의 출처를 확인하는 신뢰성도 함께 높아집니다. SSL은 서버와 브라우저 간의 안전한 연결을 만들 수 있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금융 정보나 로그인 정보 등을 보다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누군가가 데이터를 가져가더라도 SSL 인증서, HTTPS로 보내면 내용을 해독할 수 없기 때문에 가져가도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HTTPS는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는 여러 검색엔진에서도 우대를 받습니다. 구글을 비롯한 주요 엔진은 HTTPS를 사용하는 사이트를 신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검색 순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와 같은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HTTPS를 제공하는 반면, 개인이 자체적으로 호스팅한 경우에는 SSL 인증서의 발급과 설치가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이때 무료 인증서인 Let’s Encrypt를 이용하면 비용 부담 없이 쉽게 HTTPS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버 관리와 인증서 갱신 주기를 잘 맞추면 보안은 물론 운영의 부담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