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PS 라는 확장자는 MS가 2006년에 처음 발표한 전자문서의 규격입니다. 요즘에는 대부분 pdf를 이용하지만 아주 간혹 MS Office를 이용해서 xps로 export 하는 경우도 종종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pdf 비하여 xps가 큰 장점이 없기 때문에 이 파일을 이용하는 경우는 그렇게 많이 없는것 같습니다. 심지어 요즘에는 MS Office에서도 export 할때 xps 보다 pdf를 우선시 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xps의 장점은 pdf의 장점과 동일합니다. 1) 레이아웃, 서식, 글꼴, 그리고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할수 있습니다. 2) 다른 사람이 내용을 쉽게 바꿀 수 없습니다. 3) 뷰어를 너무 쉽게 구할수 있습니다. 윈도우에는 기본적으로 XPS를 열수 있는 내장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

패스트핑을 이용하게 되면 네트워크 반응속도가 조금 더 빨리 사용합니다.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MTU 값을 최소하여 대량의 패킷처리르 막아버리고 소량으로 보내게 됩니다. 2) 그러면 게임의 반응은 빠를지 몰라도 인터넷 속도는 느려집니다. 사실 대부분의 게임은 이것으로 체감되는 것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마비노비와 같이 좀 이상한 게임은 굉장히 체감이 됩니다. TCP 옵티마이저라는 프로그램도 많이 사용되기는 하였는데, 패스트핑이 조금더 인기가 많습니다.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으 느낌입니다. 패스트핑은 업데이트가 계속 되기는 하지만 업데이트 되더라도 기능적으로 더 나아지거나 그러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 쓰기 편한 버전을 많이 이용합니다. 이 버전이 바로 패스트핑 1.3 이라는..